[진료일기] 논현역치과 부러진 치아 치료 사례 이야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6회 작성일 25-01-14 11:37

본문

치과에 다양한 이유로 내원하게 되고, 다양한 이유들로 특정 치료를 원하거나 원치 않는 경우들

도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저 또한 치료의 수명을 생각하고 조금 더 확실한 치료를 설명해드리

긴 합니다. 미국 보철과 수련 중에는 다른 동료들보단 치아에 대한 애착이 조금 컸던 것 같아요.

한국에 와서는 더 그런 것 같고요. 그래도 함께 가기 어려운 치아들은 발치를 권유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발치를 권유받았던 치아를 어떻게든 최대한 살릴 수 있게 도와달라고 부탁하신 케이스를

소개하려 합니다. 어쩌다 보니 이런 케이스들이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부러진 어금니 어떻게든 살려주세요. 임플란트는 피하고 싶어요.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897_8251.png

처음 오셨을 때 위와 같은 형태였어요. 일반적으로 잇몸하방으로도 썩은 부분이 광범위할 땐, 보

철적으로 해결하기가 점점 어려워져요. 보철물의 정확도도 떨어지고, 치아 자체의 내구성도 떨어

지게 되거든요. 잇몸 하방으로 많이 썩기 전에 꼭 치료받으셔야 됩니다 ㅠ


현재도 치아구조물이 많이 없어진 상태인데, 썩은 부분까지 제거했을 땐 더 약화될거에요. 게다

이런 경우 신경치료까지 동반해야되는데, 치아 뿌리 안쪽 신경관을 넓혀주게 되면서 치아가

또 한번 약화될 여지가 있지요.

이런 종합적인 판단을 볼 때, 해당치아는 hopeless (발치해야되는 치

아)로 진단이 일반적일거에요. 하지만, 심리적인 이유에서든 아니면 특정 전신질환 때문이든, 약물

때문이든 치아를 발거하지 못하고 살려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이런 일들을 해야만 하는 곳이

보철과랍니다.


계획은 신경치료 후, 뿌리 안쪽에 기둥을 세우고, 치아 구조물을 복원하면서, 잇몸 하방으로 썩

은 부분에 부분적으로 잇몸수술을 동반한 후, 남은 치아형태를 최대한 파괴하지 않으며, 보철물이

파절되지 않는 적절한 두께를 얻어야 되겠습니다.

크라운 치료 또한 주어진 상황따라 난이도가

너무너무 달라지게 됩니다. 이 케이스는 술자도 환자분도 과정이 복잡한 상황인 것 같네요.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920_4005.png

먼저 신경치료 완료 후에, 치아 뿌리 안쪽에 기둥을 세웠습니다. 이 와중에 신경관이 다른 분들보

다 하나 더 많으시네요.. ㅎㅎ

다른의 또다른 의미

DARUN

Dimension Accurate

Restoration Unified

Non-invasively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938_2282.png

남은 치아 두께를 최대한 보존 하면서 크라운 보철물이 버틸 수 있게 작업한 모습이에요

치아 신경관 안쪽으로도 썩어있는 양이 많아서, 남아있는 치아 구조물이 너무 적네요. 이런 경우

엔, 심미적인 것보단 큰 교합력에 버틸 수 있게 강도에 더 초점을 맞춰야해요.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950_7952.png

완성된 모습이에요. 앞부분의 형태가 드러난게 마음에 들지 않아요ㅠ 하지만 심미적인 부분때문

에 잇몸 부분에 맞추게 되면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치아들이 더욱 사라지면서 결코 버틸 수 없는

구조가 될 거에요.

마지막에는 맞물리는 위치를 치아구조물이 조금 더 남아있는 곳에 더 긴밀해

질 수 있게 만들어줘야겠지요. 안 물리게 한다면 오래 쓸 수는 있겠지만 의미가 식사가 잘 안 될

거에요. 고생 많으셨는데, 오랫동안 잘 관리하셔서 잘 쓰셨으면 좋겠습니다 :)



어금니 부분이 식사하시다가 부러져서 오신분이에요. 파절경우 파절선이 어디까지 이어져있는지

가 중요해요. 파절선이 잇몸하방까지 이어져있어서, 이런 경우에도 잇몸아래 썩은 것처럼 보철물

난이도가 높아지기 시작해요. 잇몸하방의 부러진 부분을 얼마나 깔끔하게 정리하여 보철물 경계

가 깨끗이 유지될 수 있게 형태를 만들어주는 게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선 잇몸을 정돈하는 과정과 본뜨고 임시치아로 잇몸이 

잘 유지될 수 있게 형태를 만들어 주는게 중요하구요. 부러져서 노

출된 신경은 신경재생약제를 써서 시리지 않게 만들어줘야해요. 이후에 더 이상 부러지지 않게,

치아를 감싸주는 크라운으로 마무리를 하면 되겠어요.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967_2863.png

사진처럼 잇몸 하방으로 파절선이 쭉 이어져있고, 부분적으로 잇몸이 덮고 있어요.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977_8103.png

모양을 잡은후 파절선까지 충분히 드러나게 잇몸을 격리시켜줘요. 그리고 재생약제를 넣고 형태

를 보강합니다.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8992_1286.png

그리고 최종보철물 시적 사진이에요.


f818c129b681ad538f3ae66c97a5de28_1736829009_0079.png

이렇게 입안에서 잘 기능하는지 몇일동안 체크 후, 필요하면 부분적으로 조정이 필요해요.

파절 이후, 시려하셨지만, 이렇게 조치를 한 뒤에는 증상은 사라지셨어요. 다만, 이런 재생 약제를

넣었을때도, 시린증상이 있거나 먹을 때 불편감이 지속적으로 있는 경우가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결국엔 신경치료로 이어지긴 합니다. 가능하다면 신경치료는 피할 수 있는 경우는 최대한 뒤로

미루게 되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치아를 살리기 위한 마지막 과정이거든요. 신경치료 관련해서

다양한 접근 방법은 또 추후에 말씀드리겠습니다

건강하고 튼튼한 어금니 오랫동안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치아를 위한
당신의 DARUN 시작

다른 진료, 다른 서비스, 다른 공간.
지금 바로 경험해보세요.

상담신청
  • 이름 *

  • 연락처 *

  • 증상 *

  • 내용 *

  • 이름 *

  • 연락처 *

  • 증상 *

  • 내용 *